지원 개요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 이사가 잦은 청년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생활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부동산 중개보수와 이사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청년들이 직접 제안하여 서울시가 2022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청년 맞춤형 지원 정책입니다.
지원 내용
최대 40만원 한도 내 실비 지원 (생애 1회)
- 부동산 중개보수: 부동산 중개 수수료 비용
- 이사비: 개인용달, (반)포장이사, 사다리차 이용비 등
중요! 부동산 중개보수와 이사비 중 한 가지만 신청하거나 둘 다 신청하는 것 모두 가능합니다.
신청 자격
기본 자격 요건
- 대상: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시로 전입 또는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를 완료한 만 19~39세 청년가구
- 소득 기준: 가구당 중위소득 150% 이하(1인 가구 3,589,000원, 세전 기준)
- 거주 조건: 거래금액 2억원 이하 전·월세 주택 거주자
- 재산 조건: 청년 본인 무주택자
거래금액 계산법: 월세액 × 100 + 임차보증금
추가 신청 가능 대상
- 동거인(부모, 배우자, 형제·자매 등)이 있어도 지원 가능
- 단, 세대주와 임대차계약서상 임차인은 신청자 본인이어야 함
2025년 우선 지원 대상
2025년부터는 ‘약자 동행’ 시정 가치 실현을 위해 우선 지원 대상이 확대됩니다.
- 전세사기 피해 청년
- 가족돌봄청년
- 청소년 부모
지원 제외 대상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주택을 보유한 경우
- 타 기관(중앙부처, 자치구 등)에서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을 받은 경우
- 부모 소유 주택을 임차한 경우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권자
신청 방법
신청 기간
- 상반기: 2025년 4월 1일(화) 10:00 ~ 4월 14일(월) 18:00
- 하반기: 2025년 8월 예정
신청 방법
-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 접속
-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메뉴 선택
-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접수
필요 서류
신청 시 다음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지출증빙 서류(영수증 등)
- 통장사본
지원 규모 및 선정 방법
지원 규모
- 총 10,000명(상반기 6,000명, 하반기 4,000명)
선정 방법
- 사회적 약자 및 주거취약청년 우선 선발
- 이후 소득이 낮은 순으로 선정
사업 운영 기간
- 2025년 1월 ~ 2025년 12월
알아두면 좋은 정보
이전 신청자 분석 결과에 따르면:
- 20대가 70.4%, 여성이 67.5%로 가장 많은 비율 차지
- 주로 원룸(69%)에 거주
- 주택 유형으로는 단독·다가구 거주자가 37.5%로 가장 많음
- 자치구별로는 관악구 거주자(16.7%)가 가장 많음
- 중개보수와 이사비 모두 신청(41.5%), 중개보수만 신청(52.5%), 이사비만 신청(6%)